일단 매매 방법에는
추세추종과 역추세추종이 있고
추세추종은 상승 중인 차트에 그대로 올라타는 것
역추세추종은 하락 중인 차트가
반전할 걸 기대하고 하락 중인데 잡는 것
일단 인간의 본성은 기본적으로 역추세추종을 하게 됨
만약 초보인데 추세추종을 하고 있다?
더군다나 손절까지 지킨다면
이 사람은 재능충임.
찐 추세추종 트레이더라면
아예 상승 전환을 확인하고 타는데
조금이라도 더 밑에서 잡고 싶은 게 인간의 심리겠지
혹시 내 생각이 틀렸더라도 더 짧게 손절할 수 있고
그래서 난 상승 전환을 알려주는 요소가
무엇일까 매우 고민했었음
왜냐 난 항상 역추세추종에서
저점일 거라 기대하고 잡았는데
많은 경우 더 큰 하락을 맛 보는 흑우였거든
하락 중인 차트는
반전할 확률보다
계속 하락할 확률이 당연히 더 높기 때문
물론 모든 상승 전환을 다 맞출 순 없음
그러나 확률이 매우 높은 상승 전환 시그널이 있음
하락 중에 더 가파르게 하락하며 급경사 하락이 꽂혔는데
하락 중이던 급경사랑 비슷하거나
그보다 더 가파른
급경사 상승이 순식간에 일어나는 거
이 차트는 일봉이지만
보통 이런 변동성이 큰 상황이면
이런 게 1분봉으로도 뚜렷이 보임
이렇게 좀 멀리서 보면
직전 장대 음봉을 잡아먹는
장대 양봉일 수도 있고
하방 꼬리가 길게 달린 캔들일 수 있음
둘 다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
그 이후로도 가팔랐던 하락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 중이라면
최대한 빨리 잡아.
그리고 손절을 전저점으로 잡되
전저점 꼬리가 너무 길면 캔들 몸통 기준으로
그리고 차트가 계속 올라가다 보면
손절이 아니라 익절할 수 있을 거고
손절 라인을 본절 라인으로
본절 라인을 익절 라인으로
계속 올려
올라가다 어느 정도 떨어지면 그 때 수익 확정
이 기법을 트레일링 스탑이라고 함.
흔히 꼬리가 생기면 반전이라고들 하는데
그것만으론 부족하고
중요한 건 기울기임
그리고 기울기가 급격하다는 건
그만큼 많은 매물대를 짧은 시간에 소화했다는 뜻이기에
당연히 거래량도 폭등함